Search

신체활동 주관적 체험, 운동기능의 암묵적 지식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표현

인식론

체육학 인식론

학문의 조건

연구의 초점
연구 방법
지식의 총체
체육학의 현황
모학문으로의 회귀: 기초학문에 의존
체육은 기초학문일 수 있는가?
→체육고유의 탐구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면 (주관적 체험과 같은 것), 주관적 체험은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것인가?
체육은 응용학문인가?

주관적 체험과 암묵적 지식의 범주, 내용 예시

시계열 데이터의 의미공간 임베딩 기법, contrastive learning
거대언어모델의 의미공간과 시계열 데이터 의미공간의 통합 (fusion을 고려한 TS embedding)
피로감의 예측에 관한 연구(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피로감의 예측)
가상세계 생성된 멀티모달 시계열 데이터, 데이터 레이블링(관찰자의 평가) - 인간은 관찰을 통해 주관적 경험의 상상이 가능하다고 가정(mirror neuron theory)
기술수준의 차이는 주관적 경험의 표현 정도에 영향을 줄 것
암묵적 지식의 표현은 어떻게 관찰할 수 있는가? 신체활동의 암묵적 지식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합성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횡단 및 종단 인간 신체운동지능 모사
체육학적 지식에 기반한 (생리, 물리, 심리) 인간발달 모형을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개발
정교한 예측, 상호작용 평가, …
신체활동 설계, 영향 예측, 맞춤형 중재 제공, 발달, 노화예방, 건강 증진, … , 재활, 질환 치료 등
스포츠 퍼포먼스의 예측과 훈련(수행력 향상)
감각-지각-인지-운동 메커니즘의 정교한 모델링 → 체육학의 미래, 진정한 융합과학으로서 신체운동과학
운동제어학습발달은 인간의 움직임에 관한 생리학적, 물리학적, 신경과학적 이해에 기반하여
인간의 운동시스템을 이해하고
그 운동시스템에서 벌어지는 인지적, 심리적, 감성적, 이성적 활동을 다루는 연구 분야임.
인지신경과학 또는 인지과학에서 다루는 인간의 마음을 그 주 대상으로 함.
체육학에서는 몸과 마음의 관계 역시 자연스럽게 다루게 되므로,
신체에 기반한, 신체를 가지고 있는 마음의 작용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분야로서 체육학이 자리잡게 될 것임.